탁구도 즐기고

기본 - 유형(드라이브 주전형 2)

또하나의세상2 2008. 2. 6. 16:12
드라이브 주전형 +2
 

드라이브 주전형-2
포어 롱 타구의 성공은 경쾌한 푸트 웍에 의해 좌우된다
드라이브 주전형의 주무기가 되는 포어 핸드 롱의 위력을 더한층 발휘하기 위해서는 스피드와 정확한 푸트 웍이 최대의 관건이다. 백 핸드로 친 후 주특기인 포어 핸드 태세로 신속하게 바꿔 주는 푸트 웍도 확실하게 마스터해 두자.

★포어 앞쪽으로 나가서 선제공격!
몸을 이동할 때는 먼 쪽의 다리부터 먼저 움직이고 발끝으로 바닥을 차는 듯한 느낌의 재빨흔 푸트 웍이 가장 좋다. 상대의 타구점을 잘 판단한 후 그림과 같이 그 연장선상의 라인 위에 오른쪽 발을 놓고 앞으로 달려가면서 치는 요령을 배우자. 또 상대의 포어 공격에 대해서는 과감하게 포어 앞쪽으로 나가서 쳐서 선제공격을 가하자. 이로써 공격 범위의 폭이 넓어지고, 주도권은 당신의 것이 된다.!



★작은 움직임도 중요하다.

다이나믹한 움직임은 드라이브 주전형의 매력이다. 그렇기 때문에 잊어버리기 쉬운 것이 재빠른 작은 푸트 웍이다. 코트 위의 작은 볼이나 회전하지 않는 볼을 받아치거나 커트 주전형 선수를 상대로 드라이브로 랠리를 계속할 때는 특히 작은 움직임이 필요하다. 작은 푸트 웍으로 상대를 압도하자.


★볼과의 거리를 유지하자
상대가 커트 주전형일 경우 여러 가지 형태로 변화하는 볼에 현혹되어 평범한 실수를 하기 쉽다. 타구를 정확한 위치에서 잡지 않기 때문에 손 끝으로만 치게 되는 것이 원인이다.
보과 몸과의 위치는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주의한다. 드라이브 공격에는 필수적인 것이 푸트 웍이다.


※서투른 백 핸드를 극복하여 능숙한 드라이브를
드라이브 주전형이 승리하기 위한 첫번째 조건은 항상 안정된 드라이브를 치는 것이다.
우선 드라이 자체를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연습해 보자.
그 중에서도 특히 가장 시간을 많이 들여야 할 것이, 여러 가지 구질에 대해 안정된 드라이브를 치기 위한 연습이다.




★드라이브를 강화하여 위력과 안정성을 높인다.

① 포어 핸드 롱의 기본동작을 익힌다.
우선 파트너에게 회전이 작은 볼을 포어 사이드로 치게 하여 이것을 포어 핸드 드라이브로 실수 없이 받아치는 연습을 반복한다. 볼 30개 정도를 1세트로 하고 서서히 세트의 수를 늘려간다. 이 단계에서는 자신의 결점을 교정하면서 포어 롱의 드라이브 타법을 확실히 익혀둔다.
② 커트 볼을 드라이브로 받아친다.
이윽고 실수없이 칠 수 있게 되면 다음은 드라이브의 위력을 높이기 위해서 커트 볼을 드라이브로 받아치는 연습을 한다. 처음에는 원 사이드 볼에서 시작하다가 다음에는 양 사이드에 교대로, 그리고 마지막에는 불규칙하게 양 사이드로 볼을 받는다.



★드라이브와 스매시의 전환 연습

① 드라이브와 스매시를 때에 따라 적절히 구사한다.
롱의 기본을 마스터했으면 다음은 드라이브와 스매시의 전환 연습이다. 이것도 처음에는 속도가 느린 높은 볼에서 시작하여 점차 빠르고 낮은 볼로 옮겨가면서 1개씩 교대로 목표 지점으로 칠 수 있게 한다.
② 구질이 다른 서브를 치는 연습을 하자.
다음 단계에서는 구질과 높이가 다른 서브를 받는 연습을 한다. 커트 볼은 드라이브로, 드라이브 볼은 스매시로 타법을 바꾼다. 또한 횡회전이 걸린 서브를 받는 연습을 하여, 좌우 양 사이드의 코스 변화에도 대응할 수 있게 한다.



★백 핸드 리시브도 완벽하게
① 백 핸드 리시브로 약점을 극복한다.
드라이브 주전형은 백 사이드가 약점. 특히 백 핸드의 드라이브 강화는 가장 중요한 과제의 하나이다. 세이크 핸드의 경우 백 핸드 드라이브는 3구째 공격에 빠뜨릴 수 없는 중요한 기술이므로 확실하게 마스터해 두자.
② 드라이브와 스매시로 3구째 공격을 한다.
다음은 서브의 연습과 함께 3구째 공격에 드라이브의 스매시를 적절히 구사하는 연습이다. 점차 어려운 볼을 칠 수 있게 한다. 이때 백 핸드로 친 후 포어 사이드로 전환하는 푸트 웍도 연습하자.


'탁구도 즐기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본 - 유형(전진 속공형 2)  (0) 2008.02.06
기본 - 유형(전진 속곡형 1)  (0) 2008.02.06
기본 - 유형(드라이브 주전형 1)  (0) 2008.02.06
기본 - 리시브 2  (0) 2008.02.06
기본 - 리시브 1  (0) 2008.02.06